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(2.75% → 2.50%)한 이후, 정기예금 금리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.
특히 2금융권(저축은행, 신협, 새마을금고 등)을 중심으로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, 공시 금리와 실제 금리 간 차이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7월 26일 기준, 주요 금융기관의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하고, 현장 확인 결과와의 차이도 함께 안내드리겠습니다.
💡 비교 기준 및 조회 조건
이번 비교는 마이뱅크(MyBank)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, 다음 조건으로 통일하여 조회했습니다.
- 세금 조건: 일반과세
- 가입 방식: 비대면(온라인)
- 예치금액: 1,000만 원
- 예치기간: 12개월
- 지역 제한: 없음(전국)
👉 비교 기준일은 2025년 7월 셋째 주,
기준금리 인하가 반영된 이후 상품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.
🏦 신협 정기예금 금리 현황
- 마이뱅크 공시 금리: 광주어룡신협 '정기예탁금' 3.20%로 표기
📌 주의사항
신협의 경우 공시 금리와 실제 금리가 다른 경우가 많으며, 전화 문의 또는 지점 방문이 필수입니다.
🏘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 비교
- MG부평제일지점: 최대 3.20% 금리 공시
- 실제 확인 결과: 기본금리는 2.90%,
일부 우대조건 충족 시에만 3.2%까지 가능
📌 우대조건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 수익이 크게 달라지므로 가입 전 우대조건 확인은 필수입니다.
🌾 농협·축협 정기예금 금리
- 고성축산농협 기준: 7월 현재 2.95% 금리 유지 중
- 1,000만 원 예치 시 세전 이자: 약 29만 5천원
농협은 지역 조합 간 금리 차이가 크지 않고, 비교적 안정적인 금리 유지가 장점입니다.
🏦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 현황
- 마이뱅크 공시: 일부 저축은행이 여전히 3.40% 수준을 유지 중
- 다만: 금리 인하 이후 공시 갱신이 느린 경우가 많음
📌 한때 고금리를 제공했던 저축은행이지만, 최근에는 신협이나 새마을금고보다 낮은 사례도 있어 신중한 비교가 필요합니다.
🏛 1금융권(시중은행) 정기예금 금리
- 케이뱅크 기준: 2025년 7월 현재 2.75% 유지
- NH농협,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 대부분 2.70~2.75% 수준
📌 예금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1금융권 금리는 다소 낮은 편입니다.
다만 신용도 관리나 대출 연계 목적이 있다면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✅ 정기예금 선택 시 체크포인트
공시 vs 실제 금리 | 특히 신협·새마을금고는 공시와 실제 금리 차이 큼 |
우대조건 여부 | 단순 가입만으로 최고 금리를 적용받지 못할 수 있음 |
가입 시기와 기준금리 반영 | 금리 인하 반영 전/후 상품 구분 필요 |
📌 어디에 예치하는 게 가장 이득일까?
⭐ 가성비 우수 | 우대조건 충족 시 새마을금고 |
✅ 안정적 선택 | 농협 지역조합 (금리 안정적이고 전국망) |
⚠️ 주의 필요 | 신협 (공시 vs 실제 금리 차이 있음) |
❌ 비추천 시점 | 저축은행 (일부는 금리 인하 반영 늦어 금리 낮음) |
📢 결론, 지금 예금한다면?
- 2금융권 중심으로 우대조건 포함 상품을 비교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
- 특히 신협과 새마을금고는 반드시 전화나 방문으로 실금리를 확인하세요.
- 저축은행은 금리 인하 반영 여부를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.
정기예금은 단순히 공시 금리만 보고 결정하면 손해볼 수 있습니다. 직접 확인하고 비교한 후에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수익률을 높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